프로필사진

hoim

티스토리 뷰

LINUX

LVM이란

hoim 2022. 6. 6. 14:15

LVM(Logical Volume Manager)

- 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.

- 기존 파일 시스템은 물리적 스토리지에 직접 접근하여 읽고 쓰는 작업을 진행한다.

- LVM은 추상적 레이어를 두어 논리적 스토리지에서 읽고 쓰기 작업을 하므로서 스토리지의 확장, 변경에 유연하게 한다.

- 파티션 대신 볼륨이라는 단위로 저장 장치를 다루어, 물리 디스크를 볼륨 그룹으로 묶고 이것을 논리 볼륨으로 분할하여 관리한다.

- 장치 이름 지정 가능하며, disk striping, mirror volume 제공

 

 

✔️용어 정리

PV(Physical Volume)

/dev/sda1, /dev/sda2 등의 블록 스토리지를 PV로 초기화하여, LVM에서 사용할 수 있게 변환한다.

PV는 일정한 크기의 PE들로 구성된다.

 

PE(Physical Extent)

PV를 구성하는 일정한 크기의 블록

LVM2에서는 4MB가 기본크기이다. LV의 LE들과 1:1로 대응된다.

 

VG(Volume Group)

PV들의 집합으로 LV를 할당할 수 있는 공간.

PV들로 초기화된 장치들은 VG으로 통합되게 된다.

 

LV(Logical Volume)

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다루게 되는 논리적 스토리지.

 

LE(Logical Extent)

LV를 구성하는 일정한 크기의 블록

 

 

 

✔️구성 예시

 

/home 영역이 거의 찼을 경우 LVM이 적용되어 있으면 기존 데이터의 삭제나 이동 없이 서비스가 구동중인 상태에서 유연하게 볼륨을 늘리고 줄일 수 있다.

 

 

출처

https://tech.cloud.nongshim.co.kr/2018/11/23/lvmlogical-volume-manager-1-개념/

https://www.solanara.net/solanara/lvm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마스터 2급 정리  (0) 2022.06.12
RAID이란  (0) 2022.06.06
yum과 apt-get, wget과 curl  (0) 2022.02.05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